Skip to main content

전체 일정

세부 일정

기조 강연

10.5(목)

10.6(금)

[동국대학교 번역학연구소·한국번역학회·한국통역번역학회]

K-콘텐츠 번역을 통한 한국어 생태계의 확장

시간 : 10:00 ~ 15:00/장소 : 5층 그랜드홀

K-wave와 한국어 번역(초청강연)
사회 | 조성은(한국외대)

10:00 ~ 10:20

개회사 | 김순영(동국대)

10:20 ~ 11:10

한류의 언어

-공손성을 뛰어넘다-

발표 | Jieun Kiaer(옥스포드대)
토론 | 남원준(한국외대)

11:10 ~ 12:00

한국 영화 담론 해석하기

-한국어-영어 문화간 멀티모달리티 분석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-

발표 | Loli Kim(옥스포드대)
토론 | 이형진(숙명여대)

12:00 ~ 13:30

점심시간

한국어 번역 분석과 교육 방향성
사회 | 성승은(한국외대)

13:30 ~ 14:00

영화에서의 코드 스위칭과 한국어 사용

발표 | 최진실(계명대)
토론 | 마승혜(동국대)

14:00 ~ 14:30

K-문학 번역가의 한국어 학습 경험 및 학습 동기

발표 | 최은경(경희사이버대)
토론 | 이선우(한국외대)

14:30 ~ 15:00

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서의 통번역 교육 : 세종학당 통번역과정을 중심으로

발표 | 서유경(한국외대)
토론 | 윤미선(동국대)

15:00 ~ 15:30

휴식

종합토론
사회 | 홍정민(동국대)

15:30 ~ 16:30

K-콘텐츠 속 한국어 번역의 가능성과 불가능성

토론 | 성승은(한국외대)/신지선(이화여대)/이상원(서울대)/이영훈(고려대)/조성은(한국외대)

[국어학회‧한국어의미학회·한국텍스트언어학회]

전자화·기계화 시대의 국어 이해와 생성

시간 : 10:00 ~ 16:30/장소 : 4층 창조룸Ⅰ

3부
사회 | 이유미(중앙대)

10:00 ~ 10:10

개회사 및 축사 | 이찬규(국어학회 회장)/정주리(한국어의미학회 회장)/김정남(한국텍스트언어학회 회장)

10:10 ~ 11:15

[기조 강연] AI를 활용한 한국어텍스트 분석과 평가

발표 | 조영환(투블럭에이아이)

11:15 ~ 11:25

휴식

11:25 ~ 12:30

거대언어모델(Large Language Model)과 이를 활용한 한국어 전문 분야 거대언어모델 구축

발표 | 신효필(서울대)

4부 – 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어 연구의 새로운 방향

사회 | 임현열(경성대)

14:00 ~ 14:30

증강된 이야기: ChatGPT 문장 생성을 활용한 한국어 감정 데이터

발표 | 이상협(오클랜드대)/이기성(중앙대)/이유미(중앙대)
토론 | 전후민(경희대)

14:30 ~ 15:00

빅카인즈(BIG Kinds)를 이용한 언어와 문화의 추세 탐색: ‘차박’(車泊)을 중심으로

발표 | 홍정하(서강대)
토론 | 안의정(연세대)

15:00 ~ 15:20

휴식

15:20 ~ 15:50

한국어 감성 분석과 사전, 그리고 응용

발표 | 정성훈(목포대)
토론 | 정경미(고려대)

15:50 ~ 16:20

한국어 미등재어 사용 양상과 담화 기능에 대한 말뭉치언어학적 분석
-‘ㅋㅋ, ㅎㅎ’를 중심으로-

발표 | 남길임(경북대)/최준(전남대)/안진산(경북대)
토론 | 황은하(배재대)

[국어사학회‧구결학회]

한국어 어휘의 삶, 그 탐구와 활용

시간 : 10:00 ~ 16:30/장소 : 4층 창조룸Ⅱ

<자유 주제 발표> 사회 | 백채원(서울대)

10:00 ~ 10:15

개회사 | 김유범(국어사학회회장)

10:15 ~ 10:50

최초의 국어사전에 실린 어휘

발표 | 안예리(한중연)
토론 | 이준환(전남대)

10:50 ~ 11:25

‘청년-소년-청소년’의 개념과 의미 분화

발표 | 이성우(한림대)
토론 | 최준호(서울대)

11:25 ~ 12:00

어휘 사용의 변화와 다의어 생성

발표 | 정한데로(가천대)
토론 | 오규환(동덕여대)

<기획 주제 발표 / 한국어 어원 사전 편찬>
사회 | 김건희(강원대)

13:30 ~ 13:50

국어 어원 사전의 집필과 감수

발표 | 최준호(서울대)/신현규(서울대)

13:50 ~ 14:10

국어 어원 관련 참조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론

발표 | 도원영(고려대)/김숙정(호남대)

14:10 ~ 14:30

미정비 역사자료 말뭉치의 목록 확정

발표 | 김한별(서강대)/정은영(대가대)

14:30 ~ 14:50

신규 역사자료 말뭉치의 확보와 가공

발표 | 김현주(공주교대)/정한데로(가천대)

14:50 ~ 15:10

역사자료 말뭉치 구축을 위한 플랫폼 운영의 실제

발표 | 허인영(인하대)/오민석(고려대)

15:10 ~ 15:30

휴식

15:30 ~ 16:30

종합 토론

좌장 | 장경준(고려대)
토론 | 이지영(서강대)/봉미경(연세대)/이정원(서강대)/장요한(계명대)/박진호(서울대)

[국립국어원 교육연수과/서울대국어교육연구소·한국화법학회]

국어능력 평가의 전환기, 새로운 정책 방안 모색

시간 : 10:00 ~ 16:30/장소 : 3층 세계로룸Ⅰ

1부 – 글쓰기 능력 평가의 전환기, 새로운 정책 방안 모색
사회 | 박미영 학예연구사(국립국어원 교육연수과)

10:00 ~ 10:10

개회 | 국립국어원
환영사: 민병곤 연구책임자(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)

10:10 ~ 11:00

논증적 글쓰기 평가를 위한 분석적 채점기준표 개발과 적용

발표 | 민병곤(서울대)
토론 | 최숙기(한국교원대)

11:00 ~ 11:50

쓰기 능력 평가와 자동 채점

발표 | 임준호(튜터러스랩스)
토론 | 김선희(서울대)

11:50 ~ 12:00

1부 마무리 | 전체 추가 발언 및 질의

12:00 ~ 13:30

점심

2부 – 구어 의사소통 능력 평가의 전환기, 새로운 정책 방안 모색
사회 | 박미영 학예연구사(국립국어원 교육연수과)

13:30 ~ 13:35

환영사 | 박재현 회장(한국화법학회)

13:35 ~ 14:25

시대 변화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의 재개념화

발표 | 조재윤(목원대)/박창균(대구교대)
토론 | 이유미(중앙대)

14:25 ~ 15:15

의사소통 능력 평가의 현황과 쟁점

발표 | 박준홍(한국교육과정평가원)
토론 | 정민주(한남대)

15:15 ~ 15:30

휴식

15:30 ~ 16:20

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에 의한 말하기 수행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 및 공정한 평가의 가능성

발표 | 박성석(춘천교대)
토론 | 임택균(동국대)

16:20 ~ 16:30

2부 마무리 | 전체 추가 발언 및 질의, 폐회

[인문학협동조합·반교어문학회·성균관대BK21한국어교육연구단]

월경(越境)하는 한국어의 운명과 K-문학의 지정학

시간 : 09:00 ~ 13:00/장소 : 3층 세계로룸Ⅱ

사회 | 안혜연(인문학협동조합)

09:00 ~ 10:00

등록

10:00 ~ 10:20

<기조강연> 생존과 윤리

-2차 대전 직후 동아시아 문학과 가족의 알레고리-

발표 | 하시모토 사토루 (존스 홉킨스)(online)

10:20 ~ 10:40

한국 SF는 탈식민화된 미래를 꿈꾸는가?

발표 | 유상근 (뉴욕 리버사이드대)(online)

10:40 ~ 11:00

‘아시아 문학’의 재래(再来)

-일본의 K-문학/장르론의 주변-

발표 | 김경채 (게이오대)(online)

사회 | 황호덕(성균관대)

11:00 ~ 11:20

기억의 지형도

-제노사이드 문학의 국제적 비교-

발표 | 김요섭 (성균관대)

11:20 ~ 11:40

한국어 학습 열기와 그에 따르는 불안

-대만의 한국어 및 한국학 현황과 미래-

발표 | 이정민 (중국문화대학)(online)

11:40 ~ 12:00

『연변문학』 소고

-서울도 평양도 아닌 새로운 대안을 찾아서-

발표 | 김성래 (성균관대)

12:00 ~ 13:00

종합토론 좌장 : 정우택(성균관대)

토론 | 임태훈(성균관대)/이금희(성균관대)/최은혜(고려대)

[한국외대 언어연구소]

우리말과 외래어 표기

시간 : 14:00 ~ 18:00/장소 : 3층 세계로룸Ⅱ

사회 | 박경은(한국외대)

14:00 ~ 14:10

개회식 | 서종석

14:10 ~ 14:30

외래어 표기법 현황과 과제

발표 | 함계임(한국외대)

14:30 ~ 14:50

몽골어의 한글 표기 현황에 대한 고찰

-지명 표기 사례를 중심으로-

발표 | 신민선(한국외대)

14:50 ~ 15:10

튀르키예 튀르크어 외래어 표기법 연구

발표 | 이양희(한국외대)

15:10 ~ 15:30

힌디어 외래어 표기법 기초 연구

발표 | 고태진(한국외대)

15:30 ~ 15:45

휴식

15:45 ~ 16:05

우즈베크어 자모의 한글 표기법 연구

발표 | 이지은(한국외대)

16:05 ~ 16:25

러시아어 외래어 표기법의 쟁점

-모음 표기를 중심으로-

발표 | 변군혁(한국외대)

16:25 ~ 16:45

페르시아어의 한글 표기법 제정을 위한 기초 연구

발표 | 곽새라(한국외대)

16:45 ~ 17:00

휴식

17:00 ~ 17:50

종합토론

토론 | 장주영(동덕여대)/이동원(한국외대)/이새봄(중앙대)/최문정(한림대)/딜노자칼라노바(호남대)/울지바트(한국외대)

17:50 ~ 18:00

폐회식 | 서종석

[한국어교육 4개 학회(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·국제한국어교육학회·이중언어학회·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)]

한국어 교육의 위기와 기회-한국어교육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-
시간 : 10:00 ~ 18:00/장소 : 3층 세계로룸Ⅲ

개회사

원미진(KLACES 회장/연세대)

발표(Special Lecture)
사회 | 진정란(이중언어학회 회장, 사이버한국외대)

10:00 ~ 11:00

[기조 강연] 한국어 교육의 미래 활력을 위한 과거와 현재의 성찰

발표 | 민현식(전 국립국어원 원장, 서울대)

집담회
사회 | 원미진(KLACES 회장, 연세대)

11:00 ~ 12:00

1.학습자: 한국어 학습자의 다변화에 따른 교수 접근과 학습자의 이해

토론 | 김정훈(한양대)/조수진(서강대)/강남욱(성균관대)

12:00 ~ 13:30

점심

집담회
사회 | 임형재(INK 회장, 한국외국어대 교수)

13:30 ~ 14:30

2.교육자료: 다양한 교육자료와 AI 기술과 접목한 학습 도구

토론 | 윤영(호남대)/홍윤기(경희대)/박진욱(대구가톨릭대)

집담회
사회 | 진정란(이중언어학회 회장, 사이버한국외대)

14:40 ~ 15:40

3.교육환경: 온라인 & 오프라인, 복합 환경까지 급변하고 있는 교육 환경

토론 | 민경모(계명대)/진대연(선문대)/김현정(aSSIST)

집담회
박기영(전 IAKLE 회장, 서울시립대 교수)

15:50 ~ 16:50

4.한국어 교원: 교원 양성과 재교육, 교원의 위상과 역할

토론 | 정명숙(부산외대)/김유미(aSSIST)/이미향(영남대)

폐회식
임형재(INK 회장, 한국외국어대 교수)

17:00 ~

행사 폐회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