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부 일정 
사회 | 유희정 학예연구사(국립국어원 언어정보과)
13:30 ~ 13:35
분과 개회 및 소개
13:35 ~ 14:00
인공지능 언어 모델 산업 육성 지원 *영상 발표
발표 | William Tjhi(AI Singapore, NLP Hub Head)
14:00 ~ 14:20
국가적 한국어 자원 구축 현황과 발전 방향
발표 | 강미영 언어정보과장(국립국어원)
14:20 ~ 14:40
인공지능의 한국어 모델 평가체계(벤치마크)
발표 | 이보라미 학예연구관(국립국어원 언어정보과)
14:40 ~ 15:10
한국어 자원의 데이터 증강
발표 | 이정수 대표(플리토)
15:10 ~ 15:40
대형 언어 모델의 동남아 언어 능력 평가
발표 | Leong Wei Qi(AI Singapore, Senior AI Engineer)
15:40 ~ 16:00
휴식
사회 | 김한샘 교수(연세대학교)
16:00 ~ 17:30
종합토론: 언어자원과 인공지능 산업
토론 | Leong Wei Qi(AI Singapore, Senior AI Engineer)/김유섭(한림대학교)/이연수(엔씨소프트)/이진식(LG AI연구원)
1부 – 인공지능과 텍스트언어학
사회 | 서반석(명지대)
13:30 ~ 14:00
튜링 테스트를 통한 챗GPT의 거절 화행 검증 연구
– 비윤리적 질문을 중심으로 –
발표 | 김순옥(한양대)
토론 | 조원형(서울대)
14:00 ~ 14:30
전산화용론에 기반한 인공지능의 대화 처리
발표 | 구영은(성균관대)
토론 | 지영은(단국대)
14:30 ~ 15:00
메타버스 시대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
발표 | 김범주(유니티 코리아)
토론 | 김정아(서울대)
15:00 ~ 15:30
인공지능 분야로의 국어학 외연 확대에 대한 제언
발표 | 김태훈((주)알토비전)
토론 | 조국현(한국외대)
2부 – 데이터 분석과 의미
사회 | 김정선(한양대)
15:30 ~ 16:00
의미 유사도와 의미 관계
-컴퓨터 의미 유사도 계산과 인간의 의미관계 강도 판단 비교-
발표 | 이민우(사이버한국외대)/길정준(국립중산대)
토론 | 김소정(나라연구소)
16:00 ~ 16:30
의미는 과연 수치화될 수 있는가?
-공기 관계와 의미 정보-
발표 | 신서인(한림대)
토론 | 정연주(홍익대)
16:30 ~ 17:00
생성 AI를 활용한 비윤리 텍스트 데이터의 의미 해석
발표 | 정유남(중앙대)
토론 | 김혜령(고려대)
17:00 ~ 17:30
전이 학습에서 일반 의미와 영역 의미 표현 학습
발표 | 조은경(서강대)·이경님(LG유플러스)
토론 | 이혜용(이화여대)
<자유 주제 발표> 사회 | 이용(서울시립대)
13:30 ~ 13:40
개회사 | 김성주(구결학회회장)
13:40 ~ 14:20
향가의 어휘
발표 | 황선엽(서울대)
토론 | 김지오(동국대)
14:20 ~ 15:00
의궤류의 어휘
발표 | 황금연(전남대)
토론 | 이화숙(대구가톨릭대)
15:00 ~ 15:10
휴식
15:10 ~ 15:50
고문서 이두의 어휘
발표 | 조남곤(고려대)
토론 | 오창명(제주국제대)
15:50 ~ 16:30
대명률직해의 어휘
발표 | 진윤정(고려대)
토론 | 박진호(서울대)
16:30 ~ 17:30
종합 토론
좌장 | 이건식(단국대)
<1부> 케이컬처 주요 3대 분야에서의 한국어
사회 | 홍미주(경북대)
13:00 ~ 13:30
등록(방명록 기재)
13:30 ~ 13:40
개회사 | 허재영(단국대/한국사회언어학회 회장)
13:40 ~ 14:20
케이팝(K-pop) 노랫말의 언어에 대한 누리꾼들의 태도 분석
발표 | 이정복(대구대)
토론 | 박용한(해군사관학교)
14:20 ~ 15:00
케이드라마(K-drama)에서 추출된 구어 구 단위 표현 연구
발표 | 황은하(배재대)/안의정(연세대)
토론 | 김정연(울산과학기술원)
15:00 ~ 15:40
케이푸드 (K-food)에 대한 긍정 피드백 분석
발표 | 권우진(한양대)
토론 | 전은진(한양대)
15:40 ~ 16:00
휴식
<2부> 세계 케이컬처 현장의 한국어 언어경관
사회 | 윤지원(창신대)
16:00 ~ 16:40
일본 내 한국어 언어경관 양상 보고
-신 오쿠보 지역의 간판 사례를 중심으로-
발표 | 김신각(독협대, 일본)
토론 | 손희연(서울교대)
16:40 ~ 17:20
미국의 한국어 언어경관에 대한 민족언어학적 접근
발표 | 오새내(계명대)
토론 | 윤상미(강원대)
17:20 ~ 17:30
폐회사 | 허재영(단국대/한국사회언어학회 회장)
1부 – 국내 발표자 개인 발표
사회 | 김진웅(경북대)
13:00 ~ 13:30
등록
13:30 ~ 13:55
13:55 ~ 14:05
사전 사용자를 고려한 국립국어원 <표준국어대사전> 개편 사업의 방향과 지향성
발표 | 정희창(성균관대)
토론 | 장경식(한국브리태니커)
14:05 ~ 14:30
14:30 ~ 14:40
사전 사용자를 고려한 국립국어원 <한국어기초사전> 개편 사업의 방향과 지향성
발표 | 강현화(연세대)
토론 | 박지순(경희대)
14:40 ~ 15:05
15:05 ~ 15:15
언어 자원으로서의 K-pop 노랫말 활용을 위한 국어정보학적 모색
발표 | 남신혜(경희대)
토론 | 김강희(부산외대)
15:15 ~ 15:30
휴식
2부 – 국외 발표자 초청 기획 발표
사회 | 신자영(연세대)
15:30 ~ 16:00
16:00 ~ 16:10
Outside the dictionary: trends in Spanish neology(비대면 발표)
발표 | Judit Freixa(Pompeu Fabra University)
16:10 ~ 16:40
16:40 ~ 16:50
ChatGPT as a COBUILD lexicographer(비대면 발표)
발표 | Robert Lew(Adam Mickiewicz University)
16:50 ~ 17:00
휴식
3부 – 라운드테이블
좌장 | 김경(부산대)
17:00 ~ 17:30
사용자 중심 사전의 국어 정책에의 적용 방안
토론 | 김경(부산대)/안의정(연세대)/도원영(고려대)/박석준(배재대)
사회 | 구지민 학예연구관(국립국어원 한국어진흥과)
13:30 ~ 13:35
[1부] (전문가 발표) 분과 개회 및 소개
13:35 ~ 14:15
(북미) 미국 내 한국어교육 현황 – 대학 교육을 중심으로 – (online)
발표 | 최범용(미국 에모리대)/장석배(미국 밴더빌트대)
14:15 ~ 14:55
(동서남아시아) 서남/동남아시아권 한국어교육 현황
발표 | 안정민(한국외국어대학교)/이민우(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)/한주연(경희사이버대학교)
15:10 ~ 15:50
(중앙아시아) 중앙아시아 3개국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교원 재교육 방안
발표 | 함계임(한국외대)
15:50 ~ 16:30
(유럽) 독일의 한국어 교육 기관별 현황과 교원 지원 전략 (online)
발표 | 김은아(독일 튀빙겐대)
16:30 ~ 16:40
휴식
사회 | 임형재(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장)
16:40 ~ 17:30
[2부] (집담회) 한국어교육 도약기, 국외 지역 한국어교원 지원 전략
토론 | 패널(4명) 4개 한국어교육학회장(종합 토론 방식)